0장. 컴퓨터시스템개요

    목차
728x90

이 과목은 운영체제로서 지금 배우고 있는 내용을 정리하는 개념입니다.

수업목차는

  • 0장 컴퓨터 시스템 개요
  • 1장 운영체제 개요
  • 2장 프로세스 관리
  • 3장 메모리 관리(기억장치관리)
  • 4장 가상 메모리 관리
  • 5장 디스크 관리(장치관리)와 파일관리
  • 6장 프로세스간 동기화 및 통신
  • 7장 교착 상태
  • 8장 정보보호 및 보안
  • 9장 다중 처리 시스템
  • 10장 분산 처리 시스템

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나씩 정리할 예정입니다.

먼저 0장 정리 내용 입니다.

1.먼저 컴퓨터란?

컴퓨터(Computer): 명칭의 유래는 먼저 계산한다는 뜻의 라틴어

Compute=Com(함께)+Putus(생각하다)의 합성어 입니다.

DATA ->Processing->Information

자료를 처리하여서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 시스템

 

2.컴퓨터 구성

컴퓨터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2가지 종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3. 주기억장치

흔히 말하는 ROM(Read Only Memory)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ROM(Read Only Memory)

  • 저장된 명령이나 데이터를 단지 읽기만 할 수 있는 기억장치입니다. 쓰기는 불가능합니다.
  • 전원이 꺼져도 기억된 내용이 지워지지 않습니다.(비휘발성 메모리입니다.)
  • 종류로는 Mask ROM, PROM,EPROM
  •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RAM(Random Access Memory)

  • 컴퓨터 시스템에서 수행되고 있는 프로그램과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장치입니다.
  • 읽기랑 쓰기가 가능합니다. 다만 ROM과 달리 전원이 꺼지면 기억하고 있던 내용이 모두 사라집니다.(휘발성 메모리)
  • 종류로는 SRAM(Static RAM),DRAM(Dynamic RAM)등이 있습니다.

오른쪽에 있는 사진기준으로 위에 있는것이 ROM, 그 아래 있는것이 RAM이다!

 

4. 보조기억장치

여기는 좀 종류가 다양하고 좀 많이 까다롭다.

일단은 사진을 첨부하고 이것은 뒤에서 좀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5. 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란?

  • 명령들이 모여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형성하며, 프로그램들이 모여서 집합을 형성한 것이 바로 소프트웨어 이다!

->시스템 소프트웨어

너무 많지만 대표적으로는

  •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운영하는 프로그램
  • 운영체제(대표적으로 UNIX,DOS,Window 등이 해당된다.)
  • 컴파일러도 이에 해당된다.(C++, C,Java 등등)
  • 어셈블러
  • 링커 (Linker)
  • 로더 (Loader) 

어셈블러, 링커, 로더는 뒤에 자세히 나오므로 그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일단은 해당된다는 것만 아시면 좋습니다.

 

-> 응용 소프트웨어

  •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하여서 특정한 응용 분야에서 특수한 목적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응용 소프트웨어라고 합니다.
  • 예시로는 엑셀,파워포인트 같은 문서용 프로그램이나 그래픽 관련 프로그램인 포토샵등을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오른쪽에 있는 사진을 보시면 이해가 쉬워요!

 

6. 프로그래밍 언어

1. 프로그래밍 언어

  • 컴퓨터가 읽고 사용하는 명령이나 코드의 집합입니다. 저희 같은 프로그래머가 의도한 대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사용합니다. 예시로는 C#,C++을 이용해서 게임엔진에서 게임을 만든다거나 JAVA등을 이용해서 웹기반이나 앱을 만든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고급 언어(High-level language)

  • 명령어가 인간이 사용하는 일상적인 문장에 가까운 언어입니다. 컴퓨터 시스템을 제어하고 운영하는 프로그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3. 저수준 언어(Low-level language)

  •  컴퓨터가 사용하는 언어로 데이터를 표현에 있어 기본 단위인 비트의 값 즉(0,1)로 그대로 표기하는 언어를 기계어(Machine Language)라고 합니다.

4. 어셈블리 언어(Assembly Language)

  • 컴퓨터 고유의 기계어 명령을 사람이 어느 정도 해독할 수 있도록 문자화하거나 기호화한 형태의 중간수준의 언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셈블리어 처리방법

어셈블리 처리 방식은 사진을 통해 정리해보았습니다.

 

7.중앙처리장치

컴퓨터의 뇌라고 말할수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입니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사진을 통해서 정리해보았습니다.

중앙처리장치 데이터 처리방법

8. 컴퓨터 동작 과정

-> 컴퓨터 동작

  1. 명령어를 인출(메모리로부터 명령어를 가져온다.)
  2. 명령어를 해독한다.
  3. 데이터를 인출한다.
  4. 실행시킨다.
728x90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장. 기억장치 관리(1)  (0) 2023.04.26
2장. 프로세스 관리(3)  (0) 2023.04.26
2장.프로세스 관리(2)  (0) 2023.04.26
2장. 프로세스 관리(1), (어셈블러,링커,로더)  (0) 2023.04.24
1장. 운영체제 개요  (0) 2023.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