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8)
-
4장. 가상 메모리 관리(1)
1. 가상 메모리의 소개 실행하려는 전체 프로그램의 크기가 주기억장치보다 클 때 - 당장 실행에 필요한 부분만 주기억장치에다가 저장하고, 당장 필요하지 않은 나머지 부분은 보조기억장치에 넣어두고 실행한다. - 당장 실행될 부분만 주기억장치에다가 저장한다. 2. 가상기억장치 개념 개념 - 블록 단위로 나누어 사용하므로 연속 할당 방식에서 발생 할 수 있는 단편화를 해결할 수 있다. - 주기억장치의 이용률과 다중프로그래밍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 실행 시 필요한 블럭들만 비연속적으로 주기억장치에 적재시킨다. - 가상 기억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가상 기억장치의 주소를 주기억장치의 주소로 바꾸는 주소 변환 작업이 필요하다. (동적 주소 변환) 메모리에 프로그램의 일부만 적재 수행시에 장점 - 중..
2023.04.26 -
3장. 기억장치 관리(2)
1. 가변 분할 할당 기법 가변분할할당 기법 = 동적할당 기법 고정분할 기법의 단편화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미리 주기억 장치를 분할해 놓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적재하면서 필요한 만큼의 크기로 영역을 분할하는 기법이다. 프로세스들의 활동에 따라서 분할 형태를 동적으로 변화 시킨다. 주기억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수량)를 높일 수 있다. 단편화를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으나 영역과 영역 사이에 단편화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분할 영역 내의 내부 단편화 현상은 발생하지 않으나 외부 단편화는 발생한다. 관리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기억장치 배치전략(Memory placement strategy) 최초 적합 기법( First-fit strategy) - 주기억장..
2023.04.26 -
3장. 기억장치 관리(1)
1. 기억장치 관리의 개요 프로그램과 데이터는 직접 실행되거나 참조되기 위해서는 주기억장치 내에 있어야 한다. 기억 장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요한 작업 공간이다. 주기억장치는 용량이 제한되어 있으며 값이 매우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기억 장치 관리의 개념 - 기억 장치 관리는 프로세스들을 위해서 메모리를 할당하고, 제거 , 보호하는 활동이다. - 기억 장치 관리자는 기억 장치와 관련된 여러 정책을 수립하고 정책에 따라 기억 장치를 관리한다. 기억 장치 관리 정책 - 적재 정책, 배치 정책, 대치 정책 등이 있다. 2. 기억장치 관리의 개요 기억 장치 관리하는 방법을 알려면 기억 장치의 구조를 이해해야 한다. - 기억 장치는 주소들의 연속이고 주소는 프로그래머 관점의 논리적 주소와 저장 공간 관점의 물..
2023.04.26 -
2장. 프로세스 관리(3)
진짜 오지게 많긴 많다.. 3번째 2장이라고 보면된다.. 1.선점(Preemptive) 스케줄링 개념 - 하나의 프로세스가 중앙처리장치를 차지하고 있을 때 다른 프로세스(우선순위가 높은)가 현재 수행 중인 프로세스를 중지시켜버리고 자신이 중앙처리장치를 차지할 수 있는 기법을 바로 선점 스케줄링이라고 한다. - 시분할 시스템, 온라인 응용들에게 적합하다. - 선점이 가능하도록 일정시간 배당에 대한 인터럽트 타이머클럭이 필요 - 문맥 교환을 위한 많은 오버헤드를 초래함 - RR, SRT, 선점우선순위, 다단계큐, 다단계 피드백 큐 등의 알고리즘 이것도 일일이 할려다가 그러면 멘탈나갈거같아서 사진으로 대체하도록 하겠다. 나중에 시험끝나고 시간 넉넉하면 그때 수정해서 하도록 하는게 좋을 거 같다.
2023.04.26 -
2장.프로세스 관리(2)
1.스케줄링의 개요 스케줄링 개념 스케줄링은 프로세스가 생성되어 실행될 때 필요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해당 프로세스에게 할당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프로세스가 생성되어 완료될 때까지 프로세스는 여러 종류의 스케줄링 과정을 거치게 된다. 컴퓨터 동작(예시: 명령어 실행 과정) 1. 명령어를 인출( 메모리로부터 명령어를 가져옴) 2. 명령어를 해독함 3. 데이터를 인출함 4. 실행시킨다. 2. 스케줄링의 목적 스케줄링의 주 목적은 CPU나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정책이다. 처리율증가: 단위 시간당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비율을 증가시킨다. 공정성: 모든 프로세스에 공정하게 할당한다. CPU이용률 증가: 프로세스 실행과정에서 주기억장치를 엑세스 한다든지 입/출력 실행등의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CP..
2023.04.26 -
2장. 프로세스 관리(1), (어셈블러,링커,로더)
1.시스템 프로그램의 종류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어셈블리어와 어셈블러 매크로와 매크로프로세서 링커와 로더 운영체제 2. 링커와 로더 링커 여러 개로 나누어진 원시 모듈들은 어셈블러에 의해 별도로 어셈블되어 각각 다른 목적 모듈 들로 만들어져 , 보조 기억 장치에 저장된다. 이 모듈들을 실행 할 때에 연결해 주는 링커로 연결된다. 연결 기능만 수행하는 로더의 한 형태로, 링커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을 링킹(Linking)이라고 한다. 로더 목적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적재해준다. 프로그램의 실행 준비 기억장소를 적게 점유함 절대적 적재와 재배치 적재 컴퓨터 내부로 정보를 들여오거나 로드 모듈을 디스크 등의 보조기억 장치로부터 주기억장치에 적재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로더의 기능 할당(Allocation):..
2023.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