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장. 기억장치 관리(2)

    목차
728x90

1. 가변 분할 할당 기법

가변분할할당 기법 = 동적할당 기법

  • 고정분할 기법의 단편화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미리 주기억 장치를 분할해 놓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적재하면서 필요한 만큼의 크기로 영역을 분할하는 기법이다.
  • 프로세스들의 활동에 따라서 분할 형태를 동적으로 변화 시킨다.
  • 주기억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수량)를 높일 수 있다.
  • 단편화를 상당 부분 해결할 수 있으나 영역과 영역 사이에 단편화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분할 영역 내의 내부 단편화 현상은 발생하지 않으나 외부 단편화는 발생한다.
  • 관리 오버헤드가 증가한다.

기억장치 배치전략(Memory placement strategy)

  • 최초 적합 기법( First-fit strategy)
    - 주기억장치의 첫 번째 유용한 공백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 널리 사용된다. 
  • 최적 적합 기법( best -fit strategy)
    - 가장 적합한 공간을 선택한다.
    - 기억장치의 단편화를 최소화 하는 방법이다.
  • 최악 적합 기법( worst-fit strategy)
    - 가장 큰 공백에다가 배치한다.

기억장치 교체 (swapping)

  • 하나의 작업이 전체 기억장치를 사용한 후에 , 필요에 따라서 그 작업은 제거 (swap out)이 되고 다시 다음 작업이 적재( swap in)가 된다.
  • 오늘날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페이징 시스템의 기초라고 할 수 있다.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에서의 기억장치 교체

2. 단편화 해결 방식

주기억장치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단편화된 작은 공간을 모아서 하나의 큰 공간으로 만드는 것으로 자원과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통합 기법과 압축 기법이 있다.

  • 통합(Coalescing) 기법
    - 주기억장치 내에 인접해 있는 단편화된 공간을 하나의 공간으로 통합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 압축(Compaction) 기법
    - 주기억장치 내에 분산되어 있는 단편화된 빈 공간을 결합하여 하나의 큰 가용공간을 만드는 작업을 의미한다.
    - 쓰레기 수집(GC=garbage collection)이라고도 한다.

 

728x90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장. 가상 메모리 관리(1)  (0) 2023.04.26
3장. 기억장치 관리(1)  (0) 2023.04.26
2장. 프로세스 관리(3)  (0) 2023.04.26
2장.프로세스 관리(2)  (0) 2023.04.26
2장. 프로세스 관리(1), (어셈블러,링커,로더)  (0) 2023.04.24